본문 바로가기

보이스피싱 예방방법 이것도 알고 계시나요?

엔잡인 2025. 4. 9.
반응형

 

 

 

 

보이스피싱은 날로 교묘해지는 수법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신 정보를 습득하고, 적극적인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함께, 정부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기본 수칙

1. 정부 기관 사칭 전화를 주의하세요.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등 정부 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로 자금 이체나 개인 금융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전화를 받았다면 즉시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의 공식 대표번호로 사실 여부를 확인하세요.

2. 전화나 문자로 대출 권유를 받았다면 신중하게 대응하세요.

대출을 권유하는 전화나 문자를 받았다면 해당 금융회사가 실제 존재하는지, 권유한 사람이 정식 등록된 직원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3. 대출 처리비용 등의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하면 의심하세요.

정상적인 금융회사는 전산비용, 보증료, 선이자 등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요구가 있다면 응하지 마세요.

4. 저금리 대출을 위해 고금리 대출을 먼저 받으라는 권유는 거절하세요.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 고금리 대출을 먼저 받으라는 말은 100% 사기입니다. 절대 응하지 마세요.

5. 납치나 협박 전화를 받았다면 침착하게 자녀의 안전을 확인하세요.

납치·협박 전화를 받을 경우, 급하게 입금하지 말고 자녀 또는 지인과 직접 연락하여 안전을 먼저 확인하세요.

6. 채용을 이유로 계좌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면 보이스피싱을 의심하세요.

정상적인 채용 절차에서는 계좌 비밀번호나 OTP 등 금융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큽니다.

7. 가족 등을 사칭하여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본인 확인을 하세요.

메신저로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전화로 본인을 확인하세요. 상대가 통화를 피한다면 의심해야 합니다.

8. 출처 불명의 파일, 이메일, 문자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하세요.

의심스러운 링크나 파일은 악성코드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즉시 삭제하고 열지 마세요.

9. 금융감독원 팝업창이 뜨고 금융정보 입력을 요구하면 100% 보이스피싱입니다.

인터넷 사용 중 금융감독원 팝업창이 뜨며 금융 정보를 요구하면 절대 입력하지 마세요.

10. 피해 발생 시 즉시 신고하고 피해금 환급을 신청하세요.

사기범에게 돈을 보낸 경우, 즉시 금융회사 또는 경찰에 신고하고 지급정지 조치를 해야 합니다. 이후 피해금 환급도 신청하세요.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정부 서비스

1.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사전에 대출 실행을 차단해, 본인 동의 없는 대출 발생을 막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2.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타인의 비대면 계좌 개설을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로, 대포통장 개설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엠세이퍼(M-Safer)’ 휴대폰 가입 제한 서비스

본인 명의로 휴대폰이 부정 개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전 차단 설정이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미리 신청해두면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보이스피싱 피해 시 대처 방안

피해가 발생했다면 즉시 경찰서(112), 해당 금융기관, 또는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고,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경찰에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관련 서류를 제출해 환급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